오픈소스/pacemaker2 02. RHEL8 HA(Pacemaker) 구축 ※필요조건 * Service ip -> 외부접속용, OS용.. 등등.. * Heartbeat ip -> 양노드간 상태확인 * VIP(Virtual IP) -> 이중화 * iSCSI Shared Volume ip -> 스토리지간 공유 볼륨 * Management ip -> Fence 1. Pacemaker 패키지 설치 **모든 Node 에서 수행** # yum install -y pcs fence-agents-all - RHEL7에서는 iso 파일에 포함되어 있었지만, RHEL8 버전 부터는 HA repo 따로 구성 필요. 2. 별칭등록 # vim /etc/hosts ##service ip## ip hostname ip hostname ##Heartbeat ip## ip hb-hostname ip hb-h.. 2023. 4. 10. 01. RHEL8.6 HA(Pacemaker) 이론 실무에서 Pacemaker 구축이 필요함으로 Test 한 내용을 정리 함. - Pacemaker 란 ? 리눅스의 이중화 도구 오픈소스 HA Cluster Resource Manager 즉, 여러 대의 호스트들을 Cluster로 묶고 그 호스트들의 자원을 관리한다 - HA (High Availability) 란 ? 애플리케이션의 다운타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려면 2개 이상의 호스트들을 묶어서(Clustering) 하나의 호스트가 죽을 시 다른 호스트가 그 역할을 대신 이어나가야 한다 즉 이중화 구성을 하는 것 윈도우같은 경우는 MSCS를 통해 GUI로 구현 가능 Pacemaker: Cluster Resource Manager로 클러스터 위에 올라간 리소스들을 관리하는 역할 Corosync: No.. 2023. 3. 30. 이전 1 다음